미국 반려동물 비만예방협회(Association for Pet Obesity Prevention)에 따르면, 미국 내 가정 고양이의 약 60%가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입니다. 한국 역시 이와 유사한 상황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양이 보호자들 사이에서 "살찐 거 아니에요! 털 찐 거예요!"라는 말이 유행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반려동물의 비만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고양이의 비만은 다양한 건강 문제, 예를 들어 당뇨병,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 그리고 성형외과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체중 고양이는 정상 체중의 고양이에 비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3배 이상 높습니다. 따라서, 고양이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정상 체중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1. 고양이 다이어트 팁
반려동물의 체중을 주 1~1.5%씩 줄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체중 감량 목표를 설정하기 전에 반드시 고양이의 체중을 측정하세요. 고양이의 급격한 체중 감량은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칼로리 제한은 현재 체중 유지에 필요한 칼로리의 약 90%가 적당합니다. 하지만, 고양이의 종, 성별, 생활 패턴에 따라 다이어트 계획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 건강한 다이어트를 위한 고양이 사료 선택 방법
- 좋은 질의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세요.
고양이는 단백질 요구량이 높고, 그 섭취량을 줄이면 안되므로 사료의 단백질 칼로리는 최소 30% 이상이어야 합니다. 46% 단백질 사료와 36% 단백질 사료를 각각 과체중 고양이에게 먹였을 때, 46% 단백질 사료를 먹은 고양이들이 다이어트 효과가 많이 나타난 실험 결과가 있습니다. - 지방비율이 낮은 제품을 선택하세요.
지방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에 비해 칼로리가 높습니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소화할 때 사용하는 칼로리의 양은 지방보다 많아 지방 함량이 낮은 제품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 혈당지수(GI)가 낮은 탄수화물이 포함된 제품을 선택하세요.
쌀은 소화가 잘되고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에 체중 감량 식품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혈당 지수가 비교적 느리게 증가하고 인슐린 반응을 조절하는 콩, 옥수수, 보리, 고구마 등이 사용되는 제품이 도움이 됩니다. - 소화가 되지 않는 "식이섬유"가 적절히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세요.
소화가 되지 않는 식이섬유가 포함되면, 칼로리가 낮아지고 포만감이 유지됩니다. 특히, 가용성 식이섬유는 소화속도를 느리게 하여 배고픔을 덜 느끼게 도와줍니다. 식이섬유의 대표적인 예로 귀리, 보리, 사과, 블루베리, 차전차피, 아마씨 등이 있습니다.
비만 고양이의 건강한 다이어트를 위한 사료 선택에 관한 전문가의 조언을 모아서 작성하였습니다. 고양이의 건강과 행복은 우리의 우선순위이며, 적절한 사료 선택으로 우리 고양이들을 다이어트시킬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고양이 사료 선택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참고]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반려동물의 사료에 대해 관심있는 개인이 작성하였습니다.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반려동물의 사료 선택할 때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글은 기본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레퍼런스]
미국 반려동물 비만예방협회(Association for Pet Obesity Prevention)
Case, L. P., Daristotle, L., Hayek, M. G., & Raasch, M. F. (2010). Canine and Feline Nutrition:A Resource for Companion Animal Professionals.Elsevier Health Sciences.
왕태미(2018). 개와 고양이를 위한 반려동물 영양학.어니스트북스
'반려동물 사료 선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료 성분 분석 - 명태? 청대구? Blue Whiting에 대하여 (1) | 2024.01.11 |
---|---|
어린 고양이(kitten)를 위한 사료 추천 (1) | 2024.01.10 |
반려동물 성분 라벨 분석: 건강한 사료 선택을 위한 첫걸음 (1) | 2024.01.09 |
반려동물 사료 선택 가이드: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 (0) | 2024.01.09 |
AAFCO 가이드라인 분석_비타민 K3가 포함된 펫푸드 선택 가이드 (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