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사료 원료 - 가수분해 단백질, 다이제스트(digest)란?
반려동물 사료 성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가수분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수분해"에 대해 매우 좋은 단백질 원료라 설명하기도 하고, 저급 원료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의견이 갈리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단백질 가수분해란 무엇인가?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긴 사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아미노산들을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라는 과정을 통해 쪼개면, 이제 '단백질 가수분해물', 다이제스트(digest)라고 불리는 말린 가루 형태로 나와요. 이것을 분무 건조해서 가루로 만들면, 반려동물 사료에 여러 가지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답니다.
2. 가수분해 원료의 이점
첫 번째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강아지들에게 맛있고 냄새도 좋아서 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해요. 두 번째로, 어떤 통째 단백질은 강아지들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지만,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아주 작은 분자라 면역 체계에 잘 안 걸리기 때문에 알레르기가 많은 강아지, 고양이들에게 좋아요. 마지막으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비싸지 않으면서도 강아지들에게 필요한 아미노산을 잘 제공해 줘요.
3. 가수분해 원료의 생산과정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도축장 측 흐름(slaughterhouse side streams)에서 만들어지는데요, 즉, 육류산업에서 폐기된 것(사람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고기나 부산물)으로 만들어져요. 즉, 대부분 '도축장 부산물'에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고기 산업에서 남은 것들인데, 우리한테는 맛있어 보이지 않아도 가수분해를 위한 재료로는 아주 적합해요. 어떤 회사들은 도축장 부산물이 아닌, 더 좋은 고기나 심지어 전체 동물 (whole animals)을 사용하기도 해요. 다시 말해 가수분해 동물성 원료가 항상 저급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며, 좋은 원료를 사용하는 회사도 있다는 뜻입니다.
4. 가수분해 원료에 대한 비판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분명 유용하지만, 일부 자연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것을 만드는 산성/효소 반응이 자연스럽지 않다고 비판하기도 해요. 또 다른 걱정은 가수분해 과정에서 나트륨 글루탐산염(MSG)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에요. MSG는 매우 효과적인 맛 증진제인데, 이것 때문에 강아지들(그리고 사람들도)이 건강에 좋지 않을 정도로 많이 먹을 수 있어요. 반려동물의 비만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MSG가 들어가면 사료 포장지에 따로 적어놓지 않아도 돼요.
5. 좋은 가수분해 원료 구분하는 방법
만약 펫푸드에서 가수분해 단백질을 쓴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동물에서 왔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게 좋아요. 예를 들어 '치킨 가수분해물'이나 '생선 가수분해물' 같은 것들이 '가수분해물'이나 '고기 가수분해물, 동물 다이제스트'보다 훨씬 낫답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반려동물의 사료에 맛과 영양을 더하며, 알레르기가 있는 동물에게도 안전한 선택입니다. 이러한 성분을 선택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all about dogfood(링크)의 글을 읽어보세요.
[참고] 이 글은 반려동물의 사료에 관심 많은 개인이 작성하였습니다. 일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므로, 반려동물의 사료 선택할 때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글은 기본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