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사료 선택
건강한 반려동물 사료 고르는 방법
포동포동포도동
2024. 1. 13. 08:12
반응형
반려동물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사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어떤 사료가 반려동물에게 좋을지 몇 가지 기준을 세워보았습니다. 마케팅에 속지 말고, 내 반려동물을 위한 최고의 사료를 골라보세요.
1. 사용 원료의 명확성
반려동물 사료 선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원료의 명확성입니다. 제품에 사용된 원료가 분명히 표기되어 있어야 합니다. 특히, 4D(Dead, Dying, Diseased, Disabled) 원료는 피해야 합니다. 이런 원료는 영양 가치가 떨어지고 세균 오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와 같이 사료 성분에 표기되어 있다면 가급적 해당 사료는 피해 주세요.
주의할 원료명(명확하게 어떤 원료인지 알 수 없는 표기)
- 동물성 원료명: 어분, 가금, 육분, 어유 등
- 식물성 원료명: 채소, 곡류 등
- 첨가물명: 비타민, 미네랄
2. 동물성 단백질이 다른 원료보다 순서가 높은 제품
고양이와 개는 육식 동물이므로, 동물성 단백질이 주원료로 사용된 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물성 단백질보다 동물성 단백질이 더 많은 사료를 선택하세요. 사료 성분표는 제일 많이 사용 한 원료부터 나열됩니다. 또한, 건강한 단백질 원료를 사용하였는지 확인하세요.
- 건강한 동물성 단백질 사용 여부 확인: 부산물(동물의 머리, 발, 내장 등)을 많이 사용한 제품은 제외
- 충전재 사용 여부: 옥수수, 대두 등 충전재를 많이 사용한 제품은 제외
3. 영양 밸런스의 중요성
사료는 반려동물의 주식이므로,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갖춰야 합니다. 영양 밸런스가 균형 잡힌 제품을 선택하세요.
- 영양수치 공개 여부
- AFFCO 영양수치 충족 여부: AFFCO(미국사료협회) 기준 충족
- 칼슘과 인의 비율: 뼈 기형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
4. 유해성분 및 유해원료 확인
유해하다고 알려진 첨가물이나 원료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선택하세요.
- 유해 첨가물: 중아환산나트륨 메나디온(K3), BHT, BHA, TBHQ, 에톡시퀸, 아질산나트륨, 카라기난검, 크산탄검, 프로플렌 글릴콜, 글리세릴 모노스테라이레이트, 콘시럽, 자일리톨, 소르비톨, 캐러멜 색소 등
- 유해 원료: 마늘, 양파, 부추, 포도, 마카다미아, 아보카도 등
올바른 사료 선택은 반려동물의 건강과 직결됩니다. 위의 기준을 참고하여 반려동물에게 건강한 사료를 선택하시길 바래요. 앞으로 반려동물에게 건강한 사료를 더 자세히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이 글은 반려동물의 사료에 관심 많은 개인이 작성하였습니다. 일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므로, 반려동물의 사료 선택할 때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글은 기본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